Top 46 제 2 코사인 법칙 The 134 New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제 2 코사인 법칙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prairiehousefreeman.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제 2 코사인 법칙 제1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제 3 코사인법칙, 제2코사인법칙 영어로, 제 2 코사인 법칙 계산기, 제1코사인법칙 교육과정, 사인법칙 코사인법칙, 구면 코사인법칙

기하학에서 코사인 법칙(cosine法則, 영어: law of cosines)은 삼각형의 세 변과 한 각의 코사인 사이에 성립하는 정리이다. 이에 따르면, 삼각형의 두 변의 제곱합에서 사잇각의 코사인과 그 두 변의 곱의 2배를 빼면, 남은 변의 제곱과 같아진다.


코사인 법칙
코사인 법칙


코사인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36699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코사인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코사인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정의[편집]

역사[편집]

증명[편집]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경우[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코사인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사인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수학방

  • Article author: mathbang.net
  • Reviews from users: 21730 ⭐ Ratings
  • Top rated: 3.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수학방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a = bcosC + ccosB · b = ccosA + acosC · c = acosB + bcosA.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수학방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a = bcosC + ccosB · b = ccosA + acosC · c = acosB + bcosA. 코사인법칙 두 번째 제2 코사인법칙이에요. 제2 코사인법칙은 제1 코사인법칙의 확장판이에요. 따라서 제1 코사인법칙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하고 증명도 할 줄 알아야 해요. 이 글에서는 제2 코사인법칙을 유도해..
  • Table of Contents: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댓글(7개) 펼치기닫기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수학방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수학방

Read More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 Article author: houseofj.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0817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제2코사인법칙은 모든 삼각형에서 증명이 가능하다. △ABC의 꼭지점 B에서 밑변 또는 그 연장선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선분BD=h, 선분AD=x라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제2코사인법칙은 모든 삼각형에서 증명이 가능하다. △ABC의 꼭지점 B에서 밑변 또는 그 연장선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선분BD=h, 선분AD=x라고 … 제2코사인법칙이란? 임의의 삼각형이 주어졌을 때, 제1코사인법칙과 제2코사인법칙이 성립된다. 다음과 같은 삼각형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위의 식을 제2코사인법칙이라고 한다. 상당히..집 같은 느낌으로 편안하게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곳
  • Table of Contents: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티스토리툴바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Read More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 Article author: alive-earth.com
  • Reviews from users: 38699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코사인 제 2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려워보이지만 사실은 간단한데요.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변의 제곱은 다른 변의 제곱의 합에서 다른 두변의 곱에 2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코사인 제 2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려워보이지만 사실은 간단한데요.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변의 제곱은 다른 변의 제곱의 합에서 다른 두변의 곱에 2 …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공식 중 제 2 코사인 법칙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요즘들어 삼각함수와 관련된 포스팅을 많이하고 있는데요. 정말 해도해도 끝이없는 것이 수험..
  • Table of Contents:

태그

관련글

댓글0

공지사항

최근댓글

티스토리툴바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Read More

국립국어원

  • Article author: m.korean.go.kr
  • Reviews from users: 17295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국립국어원 ‘제2 코사인 법칙’으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수학 전문어이므로 ‘제2코사인법칙’으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고맙습니다. 이전글 망치세는단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국립국어원 ‘제2 코사인 법칙’으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수학 전문어이므로 ‘제2코사인법칙’으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고맙습니다. 이전글 망치세는단위. 이곳은 어문 규범, 어법, 표준국어대사전 내용 등에 대하여 문의하는 곳입니다. 1. 법률 및 규정의 해석, 시험 문제의 정답 판정 등 소관 기관 의 해석이 필요한 사안은 답변해 드리기 어려우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질문에 대한 답변은 휴일을 제외하고 다음 날까지 완료되며, 상황에 따라 조금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3. 저속한 표현, 타인에 대한 명예 훼손, 불건전한 내용, 기타 게시판의 성격에 맞지 않는 내용을 담은 글은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4. 게시판이 건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아래에 적은 내용을 참고하여 글을 쓰시기 바랍니다. 가. 특정인을 비방하는 글이나 근거 없는 내용을 담은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나. 여러분이 기재하신 사항은 다른 사람들이 조회 또는 열람할 수도 있으니 개인 정보가 게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이곳은 어문 규범 등에 대해 문의하는 곳입니다. 문의가 아닌 의견 개진에 대해서는 답을 드리지 않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은 상담사례모음(바로가기)을 이용하시면 더 쉽고 빠르게 답변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가나다’는 최근 2년 내 자료를 공개합니다.
  • Table of Contents:

주메뉴

지식22

개선22

교육22

수어점자22

참여22

알림22

자료22

소개22

참여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제2 코사인법칙

[답변]띄어쓰기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Read More

수학 #2 [제2 코사인법칙 증명]

  • Article author: velog.io
  • Reviews from users: 41914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수학 #2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제2 코사인법칙을 증명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제1 코사인법칙을 사용해 증명할 수도 있고,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해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수학 #2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제2 코사인법칙을 증명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제1 코사인법칙을 사용해 증명할 수도 있고,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해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 제2 코사인법칙에 대해 증명해보자
  • Table of Contents:

수학

sin2θ+cos2θ=1sin^2theta+cos^2theta=1sin2θ+cos2θ=1 증명

수학 #2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수학 #2 [제2 코사인법칙 증명]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prairiehousefreeman.com/blog.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하학에서 코사인 법칙(cosine法則, 영어: law of cosines)은 삼각형의 세 변과 한 각의 코사인 사이에 성립하는 정리이다. 이에 따르면, 삼각형의 두 변의 제곱합에서 사잇각의 코사인과 그 두 변의 곱의 2배를 빼면, 남은 변의 제곱과 같아진다. 삼각형의 두 변의 직각 삼각형에 대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한 일반화이다. 코사인 법칙은 삼각형의 두 변과 그 사잇각을 알 때 남은 한 변을 구하거나, 세 변을 알 때 세 각을 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의 [ 편집 ]

A , B , C {\displaystyle A,B,C} a , b , c {\displaystyle a,b,c} 삼각형의 세 각및 이들이 마주하는 변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세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가 마주하는 변이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c 2 = a 2 + b 2 − 2 a b cos ⁡ C {\displaystyle c^{2}=a^{2}+b^{2}-2ab\cos C}

여기서 cos {\displaystyle \cos } 은 삼각 함수의 하나인 코사인이다. 이를 코사인 법칙이라고 한다.[1]

코사인 법칙을 통해 삼각형의 두 변과 그 사잇각으로부터 제3의 변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삼각형의 세 변으로부터 세 각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1]

cos ⁡ C = a 2 + b 2 − c 2 2 a b {\displaystyle \cos C={\frac {a^{2}+b^{2}-c^{2}}{2ab}}}

코사인 법칙에서 C {\displaystyle C} 가 직각일 경우, cos ⁡ C = 0 {\displaystyle \cos C=0} 이므로, 다음과 같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얻는다.[1]

c 2 = a 2 + b 2 {\displaystyle c^{2}=a^{2}+b^{2}}

역사 [ 편집 ]

유클리드의 《원론》 2권 명제12 및 명제 13은 코사인 법칙과 동치인 명제를 서술한다.

명제12

둔각 삼각형에서, 둔각을 마주하는 변 위의 정사각형은 둔각을 이루는 변들 위의 정사각형들(의 합)보다 수직 (직선)이 내려진 둔각의 변, 그리고 둔각을 향한 수직 (직선)에 의해 (삼각형의) 밖에서 절단된 (직선)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두 배만큼 많다.

Proposition 12†

In obtuse-angled triangles, the square on the side subtending the obtuse ang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quares on the sides containing the obtuse angle by twice the (rectangle) contained by one of the sides around the obtuse angle, to which a perpendicular (straight-line) falls, and the (straight-line) cut off outside (the triangle) by the perpendicular (straight-line) towards the obtuse angle. — [2]

명제13

예각 삼각형에서, 예각을 마주하는 변 위의 정사각형은 예각을 이루는 변들 위의 정사각형들(의 합)보다 수직 (직선)이 내려진 예각의 변, 그리고 예각을 향하는 수직 (직선)에 의해 (삼각형의) 안에서 절단된 (직선)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두 배만큼 적다.

Proposition 13†

In acute-angled triangles, the square on the side subtending the acute angle is less than the (sum of the) squares on the sides containing the acute angle by twice the (rectangle) contained by one of the sides around the acute angle, to which a perpendicular (straight-line) falls, and the (straight-line) cut off inside (the triangle) by the perpendicular (straight-line) towards the acute angle. — [2]

레기오몬타누스는 1462~3년에 작성한 《삼각형에 대하여》(라틴어: De Triangulis)에서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을 제시하였다.[3] 프랑수아 비에트는 1579년 저서 《표준 수학》(라틴어: Canon Mathematicus)에서 제2 구면 코사인 법칙을 제시하였다.[3]

증명 [ 편집 ]

유클리드의 《원론》에서의 증명 [ 편집 ]

그림과 같이, C {\displaystyle C} 를 둔각으로 하는 둔각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높이선 B H {\displaystyle BH} 를 긋자. 그렇다면, A B H {\displaystyle ABH} 는 H {\displaystyle H} 를 직각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A B 2 = A H 2 + B H 2 {\displaystyle AB^{2}=AH^{2}+BH^{2}}

또한, A H = A C + C H {\displaystyle AH=AC+CH}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A B 2 = ( A C + C H ) 2 + B H 2 = A C 2 + 2 ( A C ) ( C H ) + C H 2 + B H 2 {\displaystyle AB^{2}=(AC+CH)^{2}+BH^{2}=AC^{2}+2(AC)(CH)+CH^{2}+BH^{2}}

마지막 두 항을 직각 삼각형 B C H {\displaystyle BCH} 에 대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A B 2 = A C 2 + 2 ( A C ) ( C H ) + B C 2 {\displaystyle AB^{2}=AC^{2}+2(AC)(CH)+BC^{2}}

이로써 유클리드의 《원론》 2권 명제12가 증명된다. 코사인의 정의에 따라

cos ⁡ C = − cos ⁡ ( π − C ) = − C H B C {\displaystyle \cos C=-\cos(\pi -C)=-{\frac {CH}{BC}}}

이므로, 코사인 법칙

A B 2 = A C 2 + B C 2 − 2 ( A C ) ( B C ) cos ⁡ C {\displaystyle AB^{2}=AC^{2}+BC^{2}-2(AC)(BC)\cos C}

이 C {\displaystyle C} 가 둔각일 경우 성립함을 알 수 있다.[2] C {\displaystyle C} 가 예각일 경우의 증명은 이와 비슷하다.

삼각법을 통한 증명 [ 편집 ]

코사인 법칙의 삼각법 을 통한 증명

삼각형의 세 변을 각각 높이선으로 안에서 또는 밖에서 나누면 다음을 얻는다.[4]

a = b cos ⁡ C + c cos ⁡ B {\displaystyle a=b\cos C+c\cos B} b = a cos ⁡ C + c cos ⁡ A {\displaystyle b=a\cos C+c\cos A} c = a cos ⁡ B + b cos ⁡ A {\displaystyle c=a\cos B+b\cos A}

세 등식의 양변에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를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a 2 = a b cos ⁡ C + a c cos ⁡ B {\displaystyle a^{2}=ab\cos C+ac\cos B} b 2 = a b cos ⁡ C + b c cos ⁡ A {\displaystyle b^{2}=ab\cos C+bc\cos A} c 2 = a c cos ⁡ B + b c cos ⁡ A {\displaystyle c^{2}=ac\cos B+bc\cos A}

이제 첫째 등식에 둘째 등식을 더한 뒤 셋째 등식을 빼면 다음을 얻는다.

a 2 + b 2 − c 2 = 2 a b cos ⁡ C {\displaystyle a^{2}+b^{2}-c^{2}=2ab\cos C}

이로써 코사인 법칙이 증명된다.

벡터와 스칼라곱을 사용한 증명 [ 편집 ]

다음과 같은 세 벡터를 정의하자.

a = C B → , b = C A → , c = A B → = a − b {\displaystyle \mathbf {a} ={\overrightarrow {CB}},\;\mathbf {b} ={\overrightarrow {CA}},\;\mathbf {c} ={\overrightarrow {AB}}=\mathbf {a} -\mathbf {b} }

그렇다면, 벡터 a , b , c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b} ,\mathbf {c} } 의 길이는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이며, 벡터 a {\displaystyle \mathbf {a} } 와 b {\displaystyle \mathbf {b}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다. 따라서, 코사인 법칙을 벡터의 스칼라곱의 성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간단히 증명할 수 있다.[5]

c 2 = c ⋅ c = ( a − b ) ⋅ ( a − b ) = a ⋅ a + b ⋅ b − 2 a ⋅ b = a 2 + b 2 − 2 a b cos ⁡ C {\displaystyle {\begin{aligned}c^{2}&=\mathbf {c} \cdot \mathbf {c} \\&=(\mathbf {a} -\mathbf {b} )\cdot (\mathbf {a} -\mathbf {b} )\\&=\mathbf {a} \cdot \mathbf {a} +\mathbf {b} \cdot \mathbf {b} -2\mathbf {a} \cdot \mathbf {b} \\&=a^{2}+b^{2}-2ab\cos C\end{aligned}}}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경우 [ 편집 ]

구면 코사인 법칙 [ 편집 ]

A , B , C {\displaystyle A,B,C} a , b , c {\displaystyle a,b,c} 구면 삼각형의 세 각와 이들이 마주하는 세 변

단위 구면 위의 구면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세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가 마주하는 세 변이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 ⁡ C {\displaystyle \cos c=\cos a\cos b+\sin a\sin b\cos C}

여기서 cos , sin {\displaystyle \cos ,\sin } 은 각각 코사인, 사인이다. 이를 (제1) 구면 코사인 법칙(第一球面cosine法則, 영어: (first) spherical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쌍대 명제는 다음과 같다.

cos ⁡ C =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 ⁡ c {\displaystyle \cos C=-\cos A\cos B+\sin A\sin B\cos c}

이를 제2 구면 코사인 법칙(第二球面cosine法則, 영어: second spherical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이 둘은 각각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cos ⁡ C = cos ⁡ c − cos ⁡ a cos ⁡ b sin ⁡ a sin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 c-\cos a\cos b}{\sin a\sin b}}} cos ⁡ c = cos ⁡ C + cos ⁡ A cos ⁡ B sin ⁡ A sin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 C+\cos A\cos B}{\sin A\sin B}}}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의 증명 (법벡터 사용) [ 편집 ]

다음과 같은 벡터들을 정의하자.

u = O A → − ( O C → ⋅ O A → ) O C → | O A → − ( O C → ⋅ O A → ) O C → | , v = O B → − ( O C → ⋅ O B → ) O C → | O B → − ( O C → ⋅ O B → ) O C → | {\displaystyle \mathbf {u} ={\frac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mathbf {v} ={\frac {{\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

즉, u , v {\displaystyle \mathbf {u} ,\mathbf {v} } 는 각각 C {\displaystyle C} 에서 A , B {\displaystyle A,B} 를 향하는 구면의 단위 접벡터이다. 그렇다면, u , v {\displaystyle \mathbf {u} ,\mathbf {v}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다. 또한, { O C → , u } , { O C → , v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C}},\mathbf {u} \},\{{\overrightarrow {OC}},\mathbf {v} \}} 는 각각 평면 O A C , O A B {\displaystyle OAC,OAB} 의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루므로, O A → , O B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B}}} 를 각각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O A → = cos ⁡ a ⋅ O C → + sin ⁡ a ⋅ u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A}}=\cos a\cdot {\overrightarrow {OC}}+\sin a\cdot \mathbf {u} } O B → = cos ⁡ b ⋅ O C → + sin ⁡ b ⋅ v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B}}=\cos b\cdot {\overrightarrow {OC}}+\sin b\cdot \mathbf {v}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 = O A → ⋅ O B → = ( cos ⁡ a ⋅ O C → + sin ⁡ a ⋅ u ) ⋅ ( cos ⁡ b ⋅ O C → + sin ⁡ b ⋅ v )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 ⁡ C {\displaystyle {\begin{aligned}\cos c&={\overrightarrow {OA}}\cdot {\overrightarrow {OB}}\\&=(\cos a\cdot {\overrightarrow {OC}}+\sin a\cdot \mathbf {u} )\cdot (\cos b\cdot {\overrightarrow {OC}}+\sin b\cdot \mathbf {v} )\\&=\cos a\cos b+\sin a\sin b\cos C\end{aligned}}}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의 증명 (비네-코시 항등식 사용) [ 편집 ]

단위 구면의 중심을 O {\displaystyle O} 라고 하자. 또한, 다음과 같은 세 벡터를 정의하자.

a = O A → , b = O B → , c = O C → {\displaystyle \mathbf {a} ={\overrightarrow {OA}},\;\mathbf {b} ={\overrightarrow {OB}},\;\mathbf {c} ={\overrightarrow {OC}}}

그렇다면, a , b , c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b} ,\mathbf {c} } 의 길이는 모두 1이며, a , b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b}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며, a , c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b {\displaystyle b} 이며, b , c {\displaystyle \mathbf {b}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a {\displaystyle a} 이다. 따라서, 벡터곱 a × b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b} } , a × c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c} } , b × c {\displaystyle \mathbf {b} \times \mathbf {c} } 의 길이는 각각 sin ⁡ c {\displaystyle \sin c} , sin ⁡ b {\displaystyle \sin b} , sin ⁡ a {\displaystyle \sin a} 이다. 또한, a × b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b} } 와 a × c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A {\displaystyle A} 이며, b × a {\displaystyle \mathbf {b} \times \mathbf {a} } 와 b × c {\displaystyle \mathbf {b} \times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B {\displaystyle B} 이며, c × a {\displaystyle \mathbf {c} \times \mathbf {a} } 와 c × b {\displaystyle \mathbf {c} \times \mathbf {b}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다. 이제, 비네-코시 항등식에 따라 다음이 성립함에 주의하자.

( c × b ) ⋅ ( c × a ) = ( c ⋅ c ) ( a ⋅ b ) − ( c ⋅ b ) ( c ⋅ a ) {\displaystyle (\mathbf {c} \times \mathbf {b} )\cdot (\mathbf {c} \times \mathbf {a} )=(\mathbf {c} \cdot \mathbf {c} )(\mathbf {a} \cdot \mathbf {b} )-(\mathbf {c} \cdot \mathbf {b} )(\mathbf {c} \cdot \mathbf {a} )}

여기에 위의 결과들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sin ⁡ a sin ⁡ b cos ⁡ C = cos ⁡ c − cos ⁡ a cos ⁡ b {\displaystyle \sin a\sin b\cos C=\cos c-\cos a\cos b}

이로써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이 증명된다.

제2 구면 코사인 법칙의 증명 [ 편집 ]

구면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극삼각형을 A ′ B ′ C ′ {\displaystyle A’B’C’}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a ′ = π − A , b ′ = π − B , c ′ = π − C {\displaystyle a’=\pi -A,\;b’=\pi -B,\;c’=\pi -C} A ′ = π − a , B ′ = π − b , C ′ = π − c {\displaystyle A’=\pi -a,\;B’=\pi -b,\;C’=\pi -c}

따라서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을 극삼각형 A ′ B ′ C ′ {\displaystyle A’B’C’} 에 적용하면, 구면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에 대한 제2 구면 코사인 법칙을 얻는다.

쌍곡 코사인 법칙 [ 편집 ]

가우스 곡률 -1의 쌍곡면 위의 쌍곡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세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이 마주하는 변이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cosh ⁡ c = cosh ⁡ a cosh ⁡ b − sinh ⁡ a sinh ⁡ b cos ⁡ C {\displaystyle \cosh c=\cosh a\cosh b-\sinh a\sinh b\cos C}

여기서 cosh , sinh {\displaystyle \cosh ,\sinh } 는 각각 쌍곡 코사인, 쌍곡 사인이다. 이를 (제1) 쌍곡 코사인 법칙((第一)雙曲cosine法則, 영어: (first) hyperbolic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 =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h ⁡ c {\displaystyle \cos C=-\cos A\cos B+\sin A\sin B\cosh c}

이를 제2 쌍곡 코사인 법칙(第二雙曲cosine法則, 영어: second hyperbolic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이 두 법칙은 각각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6]

cos ⁡ C = cosh ⁡ a cosh ⁡ b − cosh ⁡ c sinh ⁡ a sinh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 cosh ⁡ c = cos ⁡ A cos ⁡ B + cos ⁡ C sin ⁡ A sin ⁡ B {\displaystyle \cosh c={\frac {\cos A\cos B+\cos C}{\sin A\sin B}}}

특히, C {\displaystyle C} 가 직각일 경우의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은 쌍곡 피타고라스 정리가 된다.[6]

cosh ⁡ c = cosh ⁡ a cosh ⁡ b {\displaystyle \cosh c=\cosh a\cosh b}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의 증명 [ 편집 ]

복소 평면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의 열린 단위 원판 D ⊆ C {\displaystyle D\subseteq \mathbb {C} } 위에서 푸앵카레 원판 모형을 취하자. 쌍곡 삼각형 z 1 , z 2 , z 3 {\displaystyle z_{1},z_{2},z_{3}} 의 세 각의 크기를 A , B , C {\displaystyle A,B,C} , 세 변의 길이를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자. D {\displaystyle D} 위에 적절한 등거리 변환을 가하여 z 3 , z 2 , z 1 {\displaystyle z_{3},z_{2},z_{1}} 을 각각 원점 0, 양의 실수 r ∈ R + {\displaystyle r\in \mathbb {R} ^{+}} , 허수부 Im ⁡ z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z>0} 가 0보다 큰 복소수 z {\displaystyle z} 로 옮길 수 있다. 등거리 변환의 성질에 따라 새로운 삼각형 z , r , 0 {\displaystyle z,r,0} 의 세 변 및 세 각은 원래의 삼각형 z 1 , z 2 , z 3 {\displaystyle z_{1},z_{2},z_{3}} 와 같으므로, 새로운 삼각형 z , r , 0 {\displaystyle z,r,0} 에 대하여 증명하는 것으로 족하다. 쌍곡 거리의 정의에 따라, 세 변은 다음과 같다.

a = ln ⁡ 1 + r 1 − r {\displaystyle a=\ln {\frac {1+r}{1-r}}} b = ln ⁡ 1 + | z | 1 − | z | {\displaystyle b=\ln {\frac {1+|z|}{1-|z|}}} c = ln ⁡ | 1 − r z | + | z − r | | 1 − r z | − | z − r | {\displaystyle c=\ln {\frac {|1-rz|+|z-r|}{|1-rz|-|z-r|}}}

여기서 ln {\displaystyle \ln } 은 자연 로그이며, | − | {\displaystyle |-|} 은 복소수의 절댓값이다. 이 셋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tanh ⁡ a 2 = r {\displaystyle \tanh {\frac {a}{2}}=r} tanh ⁡ b 2 = | z | {\displaystyle \tanh {\frac {b}{2}}=|z|} tanh ⁡ c 2 = | z − r | | 1 − r z | {\displaystyle \tanh {\frac {c}{2}}={\frac {|z-r|}{|1-rz|}}}

여기서 tanh {\displaystyle \tanh } 는 쌍곡 탄젠트이다. 쌍곡선 함수의 항등식을 사용한 뒤 위의 결과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cosh ⁡ c = 2 sinh 2 ⁡ c 2 + 1 = 2 tanh 2 ⁡ c 2 1 − tanh 2 ⁡ c 2 + 1 = 2 | z − r | 2 | 1 − r z | 2 − | z − r | 2 + 1 = 2 r 2 + | z | 2 − 2 r z cos ⁡ C ( 1 − r 2 ) ( 1 − | z | 2 ) + 1 = ( 1 + r 2 ) ( 1 + | z | 2 ) − 4 r z cos ⁡ C ( 1 − r 2 ) ( 1 − | z | 2 ) {\displaystyle {\begin{aligned}\cosh c&=2\sinh ^{2}{\frac {c}{2}}+1\\&=2{\frac {\tanh ^{2}{\frac {c}{2}}}{1-\tanh ^{2}{\frac {c}{2}}}}+1\\&=2{\frac {|z-r|^{2}}{|1-rz|^{2}-|z-r|^{2}}}+1\\&=2{\frac {r^{2}+|z|^{2}-2rz\cos C}{(1-r^{2})(1-|z|^{2})}}+1\\&={\frac {(1+r^{2})(1+|z|^{2})-4rz\cos C}{(1-r^{2})(1-|z|^{2})}}\end{aligned}}}

넷째 등호에서 분자 부분은 평면 삼각형 z , r , 0 {\displaystyle z,r,0} 에 대한 평면 코사인 법칙에 따르며, 분모 부분은 절댓값이 실수부와 허수부의 제곱합임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이제, 여기에 다음을 대입하면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의 증명이 완성된다.[6]

cosh ⁡ a = 1 + tanh 2 ⁡ a 2 1 − tanh 2 ⁡ a 2 = 1 + r 2 1 − r 2 {\displaystyle \cosh a={\frac {1+\tanh ^{2}{\frac {a}{2}}}{1-\tanh ^{2}{\frac {a}{2}}}}={\frac {1+r^{2}}{1-r^{2}}}} sinh ⁡ a = 2 tanh ⁡ a 2 1 − tanh 2 ⁡ a 2 = 2 r 1 − r 2 {\displaystyle \sinh a={\frac {2\tanh {\frac {a}{2}}}{1-\tanh ^{2}{\frac {a}{2}}}}={\frac {2r}{1-r^{2}}}} cosh ⁡ b = 1 + | z | 1 − | z | {\displaystyle \cosh b={\frac {1+|z|}{1-|z|}}} sinh ⁡ b = 2 | z | 1 − | z | 2 {\displaystyle \sinh b={\frac {2|z|}{1-|z|^{2}}}}

제2 쌍곡 코사인 법칙의 증명 [ 편집 ]

쌍곡 사인 법칙에 나오는 비율의 구체적인 값은 다음과 같다.

sin ⁡ A sinh ⁡ a = sin ⁡ B sinh ⁡ b = sin ⁡ C sinh ⁡ c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a sinh ⁡ b sinh ⁡ c {\displaystyle {\frac {\sin A}{\sinh a}}={\frac {\sin B}{\sinh b}}={\frac {\sin C}{\sinh c}}={\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sinh c}}}

이에 따라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의 사인 값은 다음과 같다.

sin ⁡ A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b sinh ⁡ c {\displaystyle \sin A={\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b\sinh c}}} sin ⁡ B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a sinh ⁡ c {\displaystyle \sin B={\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a\sinh c}}} sin ⁡ C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a sinh ⁡ b {\displaystyle \sin C={\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

또한,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에 따라 A , B , C {\displaystyle A,B,C} 의 코사인 값은 다음과 같다.

cos ⁡ A = cosh ⁡ b cosh ⁡ c − cosh ⁡ a sinh ⁡ b sinh ⁡ c {\displaystyle \cos A={\frac {\cosh b\cosh c-\cosh a}{\sinh b\sinh c}}} cos ⁡ B = cosh ⁡ a cosh ⁡ c − cosh ⁡ b sinh ⁡ a sinh ⁡ c {\displaystyle \cos B={\frac {\cosh a\cosh c-\cosh b}{\sinh a\sinh c}}} cos ⁡ C = cosh ⁡ a cosh ⁡ b − cosh ⁡ c sinh ⁡ a sinh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A cos ⁡ B + cos ⁡ C sin ⁡ A sin ⁡ B = ( cosh ⁡ b − cosh ⁡ c − cosh ⁡ a ) ( cosh ⁡ a cosh ⁡ c − cosh ⁡ b ) + sinh 2 ⁡ c ( cosh ⁡ a cosh ⁡ b − cosh ⁡ c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 cosh ⁡ a cosh ⁡ b cosh 2 ⁡ c − cosh 2 ⁡ a cosh ⁡ c − cosh 2 ⁡ b cosh ⁡ c + cosh ⁡ a cosh ⁡ b + cosh ⁡ a cosh ⁡ b sinh 2 ⁡ c − cosh ⁡ c sinh 2 ⁡ c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 cosh ⁡ c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cos A\cos B+\cos C}{\sin A\sin B}}&={\frac {(\cosh b-\cosh c-\cosh a)(\cosh a\cosh c-\cosh b)+\sinh ^{2}c(\cosh a\cosh b-\cosh c)}{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frac {\cosh a\cosh b\cosh ^{2}c-\cosh ^{2}a\cosh c-\cosh ^{2}b\cosh c+\cosh a\cosh b+\cosh a\cosh b\sinh ^{2}c-\cosh c\sinh ^{2}c}{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cosh c\end{aligned}}}

마지막 등호에는 항등식 cosh 2 ⁡ c − sinh 2 ⁡ c = 1 {\displaystyle \cosh ^{2}c-\sinh ^{2}c=1} 이 사용되었다. 이로써 제2 쌍곡 코사인 법칙이 증명된다.[6]

평면 코사인 법칙과의 관계 [ 편집 ]

평면 코사인 법칙은 제1 구면 및 쌍곡 코사인 법칙의 극한이다. 예를 들어, 평면 코사인 법칙이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의 극한임을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푸앵카레 원판의 반지름이 r {\displaystyle r} 일 경우,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은 다음과 같이 된다.

cosh ⁡ c r r = cosh ⁡ a r r cosh ⁡ b r r − sinh ⁡ a r r sinh ⁡ b r r cos ⁡ C r {\displaystyle \cosh {\frac {c_{r}}{r}}=\cosh {\frac {a_{r}}{r}}\cosh {\frac {b_{r}}{r}}-\sinh {\frac {a_{r}}{r}}\sinh {\frac {b_{r}}{r}}\cos C_{r}}

이 경우, r → ∞ {\displaystyle r\to \infty } 일 때 쌍곡 거리 a r , b r , c r {\displaystyle a_{r},b_{r},c_{r}} 는 유클리드 거리의 2배 2 a ∞ , 2 b ∞ , 2 c ∞ {\displaystyle 2a_{\infty },2b_{\infty },2c_{\infty }} 로 수렴하며, 쌍곡각 A r , B r , C r {\displaystyle A_{r},B_{r},C_{r}} 은 유클리드 각 A ∞ , B ∞ , C ∞ {\displaystyle A_{\infty },B_{\infty },C_{\infty }} 로 수렴한다. 테일러 정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cosh ⁡ a r r = 1 + 1 2 ( a r r ) 2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cosh {\frac {a_{r}}{r}}=1+{\frac {1}{2}}\left({\frac {a_{r}}{r}}\right)^{2}+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cosh ⁡ b r r = 1 + 1 2 ( b r r ) 2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cosh {\frac {b_{r}}{r}}=1+{\frac {1}{2}}\left({\frac {b_{r}}{r}}\right)^{2}+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cosh ⁡ c r r = 1 + 1 2 ( c r r ) 2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cosh {\frac {c_{r}}{r}}=1+{\frac {1}{2}}\left({\frac {c_{r}}{r}}\right)^{2}+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이를 법칙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c r 2 r 2 = a r 2 r 2 + b r 2 r 2 − 2 sinh ⁡ a r r sinh ⁡ b r r cos ⁡ C r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frac {c_{r}^{2}}{r^{2}}}={\frac {a_{r}^{2}}{r^{2}}}+{\frac {b_{r}^{2}}{r^{2}}}-2\sinh {\frac {a_{r}}{r}}\sinh {\frac {b_{r}}{r}}\cos C_{r}+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다음에 주의하여, 양변에 r 2 {\displaystyle r^{2}} 을 곱한 뒤 극한 r → ∞ {\displaystyle r\to \infty } 을 취하고 다시 양변에 4를 나누자.

lim r → ∞ r sinh ⁡ a r r = 2 a ∞ {\displaystyle \lim _{r\to \infty }r\sinh {\frac {a_{r}}{r}}=2a_{\infty }} lim r → ∞ r sinh ⁡ b r r = 2 b ∞ {\displaystyle \lim _{r\to \infty }r\sinh {\frac {b_{r}}{r}}=2b_{\infty }} lim r → ∞ r sinh ⁡ b r r = 2 c ∞ {\displaystyle \lim _{r\to \infty }r\sinh {\frac {b_{r}}{r}}=2c_{\infty }}

그러면 평면 코사인 법칙을 얻는다.[6]

c ∞ 2 = a ∞ 2 + b ∞ 2 − 2 a ∞ b ∞ cos ⁡ C ∞ {\displaystyle c_{\infty }^{2}=a_{\infty }^{2}+b_{\infty }^{2}-2a_{\infty }b_{\infty }\cos C_{\infty }}

제2 쌍곡 코사인 법칙

cos ⁡ C r = − cos ⁡ A r cos ⁡ B r + sin ⁡ A r sin ⁡ B r cosh ⁡ c r r {\displaystyle \cos C_{r}=-\cos A_{r}\cos B_{r}+\sin A_{r}\sin B_{r}\cosh {\frac {c_{r}}{r}}}

에 극한 r → ∞ {\displaystyle r\to \infty } 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자명한 항등식이 된다.

cos ⁡ C ∞ = − cos ⁡ A ∞ cos ⁡ B ∞ + sin ⁡ A ∞ sin ⁡ B ∞ {\displaystyle \cos C_{\infty }=-\cos A_{\infty }\cos B_{\infty }+\sin A_{\infty }\sin B_{\infty }}

이는 A ∞ + B ∞ + C ∞ = π {\displaystyle A_{\infty }+B_{\infty }+C_{\infty }=\pi } 이므로 자명하다. 따라서 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제2 코사인 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6]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코사인법칙 두 번째 제2 코사인법칙이에요.

제2 코사인법칙은 제1 코사인법칙의 확장판이에요. 따라서 제1 코사인법칙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하고 증명도 할 줄 알아야 해요.

이 글에서는 제2 코사인법칙을 유도해보고 제2 코사인법칙을 활용해서 문제도 풀어볼 거예요. 제2 코사인법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떤 경우에 제2 코사인법칙을 이용해서 문제를 푸는지 잘 기억해두세요.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제2 코사인법칙을 보기 전에 먼저 제1 코사인법칙부터 볼까요?

a = bcosC + ccosB

b = ccosA + acosC

c = acosB + bcosA

세 개의 식이 있는데 각각의 식에 좌변에 있는 항목(a, b, c)을 양변에 곱해보죠.

a 2 = abcosC + cacosB …… ①

= abcosC + cacosB …… ① b 2 = bccosA + abcosC …… ②

= bccosA + abcosC …… ② c2 = cacosB + bccosA …… ③

순서대로 ①식, ②식, ③식이라고 해보죠.

① – ② – ③을 하면

a2 – b2 – c2 = abcosC + cacosB – (bccosA + abcosC) – (cacosB + bccosA)

a2 – b2 – c2 = -2bccosA

a2 = b2 + c2 – 2bccosA

② – ③ – ①을 하면

b2 – c2 – a2 = bccosA + abcosC – (cacosB + bccosA) – (abcosC + cacosB)

b2 – c2 – a2 = -2cacosB

b2 = c2 + a2 – 2cacosB

③ – ① – ②를 하면

c2 – a2 – b2 = cacosB + bccosA – (abcosC + cacosB) – (bccosA + abcosC)

c2 – a2 – b2 = -2abcosC

c2 = a2 + b2 – 2abcosC

제2 코사인법칙

a2 = b2 + c2 – 2bccosA

b2 = c2 + a2 – 2cacosB

c2 = a2 + b2 – 2abcosC

일단 첫 번째 공식만 보죠. a2 = b2 + c2 – 2bccosA

각 항을 보면 a, b, c라는 세 변의 길이와 A라는 한 각의 크기로 되어 있어요. 세 변과 한 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죠.

b, c라는 두 변의 길이와 A의 각의 크기를 알면 나머지 한 변인 a를 구할 수 있어요. 여기서 A는 어떤 각인가요? a의 대변이자 b, c 사이의 끼인각이죠? 즉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를 알면 끼인각의 대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는 거예요.

조금 돌려서 얘기해볼까요?

a, b, c 세 변의 길이를 알면 어떨까요? cosA를 구할 수 있죠? 만약에 cosA가 우리가 외우고 있는 삼각비라면 A도 구할 수 있다는 얘기예요.

다음을 구하여라.

(1) a = 2cm, b = 3cm, C = 60°일 때, c

(2) a = 3cm, b = 3cm, c = 3 cm일 때, A

(1)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의 크기를 알려줬네요. 공식에 대입해보죠.

(2) 세 변의 길이를 알려주고 한 각의 크기를 구하라고 했어요. 코사인법칙은 세 변의 길이와 한 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니까 공식을 이용해서 각을 구할 수 있어요.

A = 45°

함께 보면 좋은 글

사인법칙, 사인법칙 증명

코사인법칙, 제1코사인법칙 증명

삼각방정식, 삼각방정식 푸는 방법

삼각부등식, 삼각부등식 푸는 법

삼각함수 그래프 그리는 법 – sin 그래프, 주기함수

정리해볼까요 제2 코사인법칙 a 2 = b 2 + c 2 – 2bccosA

= b + c – 2bccosA b 2 = c 2 + a 2 – 2cacosB

= c + a – 2cacosB c2 = a2 + b2 – 2abcosC

그리드형(광고전용)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반응형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공식 중 제 2 코사인 법칙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요즘들어 삼각함수와 관련된 포스팅을 많이하고 있는데요. 정말 해도해도 끝이없는 것이 수험생 여러분들의 고통이 느껴집니다. 간단하니, 따라오시죠! 레츠게릿

코사인 제 2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려워보이지만 사실은 간단한데요.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변의 제곱은 다른 변의 제곱의 합에서 다른 두변의 곱에 2를 곱하고 구하고자하는 변의 마주편 각의 Cos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말로 표현하자니 어렵지만, 열 번 정도 공책에 적어보시면 원리를 쉽게 익히실 수 있을 것입니다. 코사인 제 2법칙은 다양한 문제에 적용되기에 꼭 알고 계셔야하는데요. 공식만 알고가면 그러니, 바로 예제 문제 풀이를 해보겠습니다. 따라오시죠!

문제) 다음과 같은 삼각형이 주어졌을 때 c의 길이는 얼마인가?

문제가 주어졌네요. 각 하나와 변의 길이가 두 개가 주어지면 코사인 2법칙을 이용해서 풀어야한다고 머릿속에서 생각하셔야 해요. 앞서 배운 공식을 적용해서 문제 풀이를 진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간단하죠? 코사인 2법칙을 이용하는 문제를 자주 풀어보시면 자유자재로 문제 풀이가 가능하실 거에요! 오늘도 화이팅!!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제 2 코사인 법칙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제1코사인법칙, 제2 코사인법칙 증명, 제 3 코사인법칙, 제2코사인법칙 영어로, 제 2 코사인 법칙 계산기, 제1코사인법칙 교육과정, 사인법칙 코사인법칙, 구면 코사인법칙

Leave a Comment